성홍열과 수두, 어떻게 다를까? 증상부터 치료까지 확실히 구분하는 법

 

성홍열 수두

 

성홍열과 수두의 차이점이 궁금하신가요? 이 글에서는 두 질환의 원인, 증상, 전파 경로, 치료법을 전문가의 시각으로 명확하게 구분해 드립니다.


성홍열이란 무엇인가요?

성홍열은 A군 연쇄상구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진성 질환으로, 고열과 딸기 혀, 전신 발진이 특징입니다.

대부분 5~15세 어린이에게 발병하며, 인후염 증상 이후 피부 발진이 시작됩니다. 초기에 진단하지 않으면 중이염, 신장염 같은 합병증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대응이 매우 중요합니다.

성홍열의 주요 증상

  • 고열(38도 이상), 인후통
  • 딸기 혀(혀에 흰 막과 붉은 돌기)
  • 피부에 모래알 같은 붉은 발진 (특히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 마찰 부위)
  • 발열 시작 후 1~2일 후 발진이 시작되며, 손바닥과 발바닥의 껍질 벗겨짐이 후기에 나타남

성홍열의 원인과 전파 경로

  • 원인균: A군 베타용혈성 연쇄상구균
  • 전파: 비말 감염(기침, 재채기), 접촉 감염
  • 잠복기 2~5일 정도이며, 증상 발현 전에도 감염 가능

성홍열 치료 방법

  • 항생제 치료(페니실린 계열)를 10일간 복용
  • 해열제 및 수분 섭취 등 대증요법 병행
  • 치료 시작 후 24시간 이내 전염력 감소

성홍열은 적절한 항생제 치료 시 대부분 완치되지만, 치료를 게을리하면 신장염이나 류마티스열 등 합병증 위험이 큽니다.



성홍열 진단 가능한 병원 찾기


수두는 어떤 병인가요?

수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에 의해 발생하는 고열과 수포성 발진이 특징인 바이러스성 감염병입니다.

특히 소아에게 흔히 발생하며, 공기를 통해 강하게 전파되는 감염력이 높은 질환입니다.

수두의 주요 증상

  • 37.5~39도의 발열, 오한, 피로감
  • 얼굴, 두피, 몸통 중심으로 수포(물집)가 빠르게 퍼짐
  • 수포는 가려움증을 동반하며, 딱지로 마무리됨
  • 잠복기 10~21일, 증상 발현 전후에도 전염 가능

수두의 전파와 예방

  • 전파: 공기 전파(호흡기 비말) 및 수포 접촉
  • 어린이집, 유치원 등 단체 생활 공간에서 급속 전파
  • 예방: 수두 백신 접종(12
    15개월, 46세 2회 접종 권장)

수두 치료 방법

  • 특별한 치료제는 없으며, 대부분 자가 치유됨
  • 증상 완화를 위한 해열제, 가려움 완화제 사용
  • 면역 저하자는 항바이러스제(아시클로버) 처방 고려

수두는 심할 경우 폐렴, 뇌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소아는 격리 치료와 적절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수두 예방접종 병원 찾기


성홍열과 수두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성홍열은 세균성 감염, 수두는 바이러스성 감염이며, 발진의 형태와 전파 방식, 치료법도 명확히 다릅니다.

구분 성홍열 수두
원인균 A군 연쇄상구균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ZV)
전파 방식 비말 감염, 접촉 공기 전파, 수포 접촉
주요 증상 고열, 인후통, 딸기 혀, 붉은 발진 발열, 가려운 수포성 발진
발진 형태 거친 모래알 같은 붉은 발진 맑은 물집 → 농포 → 딱지로 진행
치료 방법 항생제 치료 대증요법, 필요 시 항바이러스제
예방 백신 없음 수두 백신 존재 (예방접종 가능)

🔥나만 모르는 실시간 뉴스🔥